2015년 8월 9일 일요일

R800-DR 수정판 - turboR 디스크 동작 시, CPU 모드 고정

MSXturboR은 기존 MSX 3.58MHz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VDP, OPLL, 외부 롬 액세스 시, HW적으로 delay를 넣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FDD의 HW IO 처리는 해당 디스크롬 내부 SW로 구동이 되는데요.

이 때는 turboR이 강제적으로 HW delay를 넣을 수가 없기 때문에,

turboR DOS2 루틴에서 CPU 모드를 Z80으로 몰래 바꿔서 처리합니다.


이 때문에 디스크 속도가 느려지게 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이 R800-DR 입니다.

특정 드라이브 액세스 시, Z80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R800 모드 그대로 동작하도록 해줍니다.

DOS2CASH, LUNA 등의 디스크 캐쉬 프로그램도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지만,

FAT16 드라이버와 함께 쓸수가 없어서 무용지물이죠.


첨부된 R800-DR은 제가 약간 수정한 버전입니다.

원래 버전은 드라이브 A,B만 Z80모드 사용하고 그 외는 R800 모드로 고정되어있는데,

수정한 버전은 드라이브 별로 Z800/R800 모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원본 코드 및 수정 버전(소스 포함) 모두 첨부했습니다.

필요하신 분 받아서 테스트해보셔요.

Download: R800-DR_MOD_20150809.ZIP

Download: R800-DR_ORG.ZIP


argument는 순서대로 드라이브 ABCDEFGH 의 모드를 설정합니다.

1이면 Z80으로 되구요. 0이면 R800 그대로 동작입니다.

참고로, MMC/SD 및 램디스크 드라이브는 R800 모드로 잘 동작합니다.


아래는 MMC/SD는 32MB, 램 디스크는 512KB 용량에서 DOSSCAN 테스트 결과입니다.

Z80 전환안하면 무지 빠릅니다. ㅎ.ㅎb


R800-DR 사용 않을 때,

MMC/SD = 145KB/sec

램 디스크 = 128KB/sec


R800-DR 사용 할 때,

MMC/SD = 238KB/sec

램 디스크 = 512KB/sec


아래는 R800-DR 코드 관련 참고한 내용입니다.

http://www.msx.org/forum/msx-talk/software-and-gaming/r800dr-dos




2015년 8월 1일 토요일

M File Manager v2.0 for MSX-DOS2


Download: M_v2.0_20150801.zip


----------------------------------------------------------------

    M v2.0 (MSX-DOS2용 파일 매니져 2015.08.01)

        By 서영만 <E-mail:sharksym@hitel.net>

----------------------------------------------------------------


* 변경 내용


  - FontPack 카트리지 지원 추가. (한글, 특수문자, 한자)

  - RAM Disk 드라이브 인식 추가.

  - 선택된 파일 갯수 및 용량 표시 추가.

  - 커맨드라인 입력 창, 2줄로 변경.

  - 내장 커맨드 추가.

     #CDD : 드라이브/디렉토리 이동

     #CPU0: turboR Z80 모드

     #CPU1: turboR R800 ROM 모드

     #CPU2: turboR R800 DRAM 모드

  - MPXP/IMSP 재생 시,

     여러개 파일 선택 가능. (곡넘김은 [취소]키 사용)

     turboR LED 레벨미터 기능 추가. (M.INI에서 OFF가능)

     MP3/WMA Bit Rate 표시 추가.



* File manager - M


  M은 MS-DOS에서 널리 쓰이던 Mdir과 비슷한 프로그램입니다.

  파일 관리 및 실행을 도와줍니다.

  인터레이스 고해상도 모드를 사용하며 완성형 한글도 지원합니다.

  넌인터레이스 모드 사용 시에는 8x8 폰트로 표시됩니다.

  (내장 폰트 대신, 외부 파일 로딩 가능. 2048바이트 폰트)



* 요구 사항


  MSX-DOS2가 구동되는 MSX2(VRAM 128KB) 이상의 기종.

  추가 메모리 매퍼 192KB (기본/R800_TR 버전), 128KB (Lite버전)



* 설치


  PATH가 걸린 디렉토리에 압축파일을 모두 풀어넣습니다.

  만약 LITE 또는 R800_TR 버전을 쓰려면 해당 디렉토리 내의

   M.COM, M.OVL 두개 파일을 복사하면 됩니다.



* 사용법


  PATH 걸린 디렉토리에 설치가 되었으므로,

  DOS2 프롬프트에서 M [리턴] 하면 실행됩니다.


  파일 뷰어 상에서의 동작키에 대한 설명은,

   M 실행 후 F1을 눌러 #HELP를 실행하면 볼 수 있습니다.


2015년 7월 27일 월요일

FontPack 제작 #5 - 한글 IME

폰트팩 BIOS 롬에 한글 입력기(IME)를 넣어보았습니다.


일단 아래처럼 구현해보았어요.


- 키배열: 두벌식 한글

- 문자입력: 영문, 한글, 한자

- 영문/한글 입력모드 전환: KANA 키

- 한글/일어 입력모드 전환: 한글 모드 상태에서 CTRL + SELECT 키

- 한자 입력: 한글 한글자 입력 후, GRAPH + SELECT 키 (동음 한자 순환)


문자 조합/삭제 방식은 윈도의 한글 IME와 유사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아무래도 익숙한 방식으로 만드는게 편하겠죠?


한자 입력은 GRAPH + SELECT 키 누를 때마다, 해당 음의 한자들을 한글자씩 바꿔줍니다.

동음 한자 리스트가 끝나면, 원래 한글 문자로 돌아오구요. (계속 누르면 반복됩니다.)


본체 BIOS의 일어(KANA) 입력은, CTRL + SELECT 키를 누르면 즉시 전환됩니다.

전환 할 때, BEEP 소리 나도록 해놨으니 놀라지 마시구요~


물론 일어 코드와 한글(CP949) 코드 영역이 분리되지 않아서,

응용 프로그램에서 문자 출력 시, 한글/일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있거나...

하나의 코드로 고정해야됩니다.

(혹시 MSX3 만드시는 분 계시면, BIOS 문자 처리는 유니코드로 해주셔요. ㅎ.ㅎㅋ)


부팅 시, 스크린샷 하나 찍어보았습니다.



아래는 실제 동작영상입니다. 어떤식으로 돌아가는지 대충 파악이 되실꺼에요~ ㅎ





PS. 현재 업뎃된 M 프로그램에서는 2바이트 문자를 인식하도록 개선되어있습니다.

     커서키, BS, DEL 등의 키입력이 제대로 된다는 말씀이죵.


PS2. 조만간 코드 정리되면, 폰트팩 관련 유틸들의 업뎃이 있을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