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17일 화요일

M File Manager의 내장 그래픽 뷰어

지난 정모 때, ASTERiS님이 디지타이즈 해주신 사진이 있었어요.

보통 BASIC에서 BLOAD"XXX",S 해서 보면 되지만,

간단한 그래픽 뷰어를 M에 내장해서 뿌려(!)보았습니다. ㅋ


음... 그냥 화면에 로딩하는게 전부라 실제 코드도 몇줄 되지 않아요.

스크린5,7,8,12 용 그림파일 지원되구요.

IL1/IL2 두 파일로 저장된, 인터레이스 스크린8 그림도 지원합니다.


아래는 M v2.1의 동작 모습입니다. 구경하셔요~ ㅎ.ㅎ




그럼, 이만~~~슈슈슈

2016년 5월 1일 일요일

2016년 파라동 정모 후기

제 이름표입니다~ ㅎ.ㅎ



6년전 정모때에는 아이큐2000 + 터보알, LCD 모니터 2개, 확장슬롯 2개, 잡다 기기 왕창 들고갔었는데요.


이번 정모에서는 기기 수를 좀 줄였습니다. ㅋ

대신 32인치 LCD 모니터를 챙겼습니다.

아무래도 폰트팩, M 등등 480i 디스플레이를 제대로 보여드리는게 impact가 있지 않을까 생각했지요.

보통 레트로 디스플레이하면, "CRT 방모"를 떠올리게 되는데요. LCD도 좋다는걸 보여드리려구요.ㅋ

MMC/SD V3의 스캔라인 효과를 보여주기에도 딱 맞는 LCD 모니터입니다.


그외 기기들은 제가 메인으로 쓰는 카트리지들만 챙겼습니다.

예전엔 Franky, Music Module도 가져갔지만, 시연할 여유가 많지않다는걸 알기에~ 이것들은 스킵!

뒷풀이 때 paraMSX-R 카트리지를 기대하신 분도 계셨지만, 이번엔 스킵했습니다.

다음을 기대해주세요~


이름표도 프린트해서 미리 준비했구요.

유령군님 제작의 PARADISE 로고가 박혀있어서, 기념품으로 남기셔도 괜찮을 듯 합니다.

오전 파나소닉 정모 장소에 도착하니 먼저 오신 분들이 준비하고 계셨어요.

첫 발표를 제가 진행했는데, 생각보다 오신분들이 많아서 분위기가 한층 업(!) 되었습니다.

전날 둘째 초등학교 운동회 다녀오느라, 얼굴이 좀 벌겋게 탄 상태라...

낮술 한거 아니냐? 이런 의문을 가지신 분들도 계셨을꺼에요.ㅋ


오후로 넘어가면서 각종 기기들, 자작 물품들 보면서 재밌는 시간 보냈습니다.

점심엔 김밥 그리고 각종 음료수, 과자 등등 맛나게 냠냠하면서 빠르게 시간이 흘러갔네요.


개인적으로 이번 모임에서 사에바료님, 고명호님 등등 첨 뵙는 분들 많아서 좋았구요.

아마 그분들은 반대로 생각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제가 모임을 나간적이 몇번 없으니...ㅋㅋ


셀카 샷~ ㅎ




처음 보는 기기, 자작 물품도 많아서 좋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준소프트님의 MPX 뉴 버전이 가장 기대가 되었어요. ㅎ.ㅎ

사운드 카트리지 여러개 쓰다보면, 스테레오 오디오 믹서가 참 아쉽거든요.

(본체 오디오 출력이 모노 채널이다보니...)




참, 제 터보알에서 MMC/SD Drive V3의 GameRunner 자동 데모를 돌렸었는데요.

옆에 놔둔 노트북은 시리얼(232C) 통신으로 몇가지 커맨드를 터보알쪽으로 넘겨주는 역할을 했었어요.

(M에서 파일 선택, 실행 같은 것들)




그외 SDT, VGM, MP3 플레이도 보여드렸는데, 이런걸 처음 보신 분들도 있으셨을꺼에요.

SDT 제대로 재생하려면, SCC-I 카트리지 두개가 필요합니다. ㅎ.ㅎㅋ (만들어주실꺼죠? 준성님?)


역시나 이번 모임도 시간이 정신없이 지나가려버서, 끝나고 나면 항상 아쉽습니다...

이번 모임이 즐거운 시간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해주신 모든 회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장소 예약하고 진행 맡으신 유령군님께 특히 더 감사드리구요. ㅎ.ㅎ


마지막으로,

ASTERiS님이 소니 디지타이저로 만들어주신 사진 투척하고 갑니다.

즐거운 저녁되세요~




오른쪽 두분은 모자이크 처리했어요~




PS. 득템 사진을 깜박했네요. 게임대회는 초반탈락이었지만, 가위바위보 두번 이겼어요. ㅋㅋ



2016년 4월 8일 금요일

paraMSX-R 제작 #3 - IQ-2000 구동 성공 그리고...

VHDL 코드를 수정하니 MSX2 설정이 제대로 동작합니다~ ㅎ.ㅎㅋ


아래는 IQ-2000, X-II, FS-A1F 순으로 부팅하는 모습입니다.

아이큐 교실도 잘 나오구요.




아래는 X-II 모드에서 스크린9 및 WIDTH 64 설정한 모습입니다.

실제 X-II 에서는 명조체 한글/한자가 나오겠지만, 아직은 출력이 안됩니다.

EPM3128으로 테스트는 여기까지가 한계네요. ㅎ.ㅎ

EPM570 넣어서 새로 보드를 만들어야 되겠습니다.




끝으로 현재까지 생각한 요구사항을 정리해봤습니다.


- DISK 없는 환경에서도 사용가능

- 기본 모드(MSX1,2,2+ 몇개)의 데이터는 플래쉬롬에 미리 다운로드

- 사용자 설정 모드 지원 -> DOS2 상에서 SRAM에 로딩 후 구동

- 외부 연결 용 슬롯 1개 지원 -> bypass 모드에서는 본체 슬롯으로 동작

- 메인램 매퍼 64KB, 128KB, 256KB, 512KB 설정 가능

- FM-PAC BIOS, DOS2 + KANJI-DRV 등의 매퍼 지원



보드에는 EPM570, 플래쉬롬 1MB, SRAM 2MB 정도가 들어갈 예정입니다.

CPLD 용량이 부족하면 추가 매퍼롬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물론 여유가 된다면 메가램(ASCII 8K/16K)이 추가되면 좋겠구요. (가능하면 재미나 디럭스박스?ㅋ)


외부 연결 슬롯은 아래 사진처럼 카트리지 위로 커넥터가 장착됩니다.

본체 MSX를 처음 켜면, 카트리지 없이 외부 슬롯의 기기만 동작하게 되구요.

paraMSX-R S/W로 구동이 되면, 연결된 슬롯은 에뮬모드의 슬롯으로 동작이 바뀌게됩니다.

아마 저처럼 확장 슬롯에 기기들 몽땅 꽂아서 쓰는 경우라면, 가장 편리한 방법일 듯 하네요.




그럼 즐거운 밤 되셔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