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23일 목요일

오랜만에 대우 CPC-300 (아이큐2000)을 켜보았습니다.

제가 주력으로 쓰는 모니터(32인치 LCD)는 SCART를 입력으로 받는건데요.

A1GT 출력이랑 외부 스피커 등의 잡다 선들이 얽혀있어서, 거의 GT전용으로 쓰고 있었지요.


이 모니터에 아이큐2000을 연결하려면, SCART 케이블을 바꿔야해서 상당히 귀찮습니다요~ㅋ

며칠전에 마피님이 대우 RGB 8핀DIN -> 일제 RGB 8핀DIN 변환 케이블을 만들어주신걸 써봤습니다.


국산(대우) RGB랑 일제 RGB 핀배열은 아래 그림 참고하시구요.

AVC, YS 핀에 12V,3V 이렇게 적혀있는데, 이건 전원이 아니고 신호선입니다.

소니 방모를 쓰시는 분들은 아마 연결안해보셨겠죠? ㅎ.ㅎ






GT에 꽂혀있는 케이블을 뽑아서, RGB 변환 케이블을 통해 아이큐2000에 연결합니다.

본체가 누렇게 보이나요? 사진이 이상한게 아니구요.ㅋ 햇볕에 노랗게 익어서 그렇습니다요.






부팅 로고도 큼직하게 잘 보이네요~ ㅎ.ㅎ






스페이스 맨보도 돌려봤습니다.

MMC/SD V2의 멀티롬인데... 참 오랜만에 구동해보네요. ㅎ.ㅎ





그럼, 편안한 밤 되셔요~~~


2017년 10월 21일 토요일

MS-DOS Player 맛보기

MS-DOS Player는 윈도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입니다.

http://takeda-toshiya.my.coocan.jp/msdos/


이름만 봐도 기능을 추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데요.ㅋ

윈도에서 MS-DOS 용 16비트 프로그램을 실행해줍니다.

그러니까 MS-DOS 에뮬인 셈이죠. 소스를 보니 CPU쪽은 MAME의 코드가 쓰였네요.


저는 윈도10 x64 버전을 쓰고 있구요.

프로그램(msdos.exe)를 윈도 PATH가 걸린 폴더에 복사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서 실행해보면, 아래처럼 뜨는걸 볼 수 있네요.





윈도에서 DOS 프로그램 실행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VMware, DOSBox 같은 프로그램이 먼저 떠오르네요.


근데 MS-DOS Player는 실행하려는 프로그램에 에뮬레이터를 삽입해서,

win32 프로그램처럼 변환해주는 좀 특이한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요게 아주 편리한 방식이죠.


그럼 어떻게 구동되는지 한번 보시죠!



테스트에 쓰인 프로그램은 DOS 용 LHA.EXE랑 UC.EXE입니다.

압축 테스트 용 LZH 파일도 하나 준비했구요.

참고로 UC는 UltraCompressor II 입니다.


윈도의 명령 프롬프트에서 실행해볼까요?

아래처럼 에러가 나오네요. 흐흐...





그럼 MS-DOS Player로 LHA를 실행해보겠습니다.

잘 돌아가네요!





근데 매번 msdos lha .... 으로 실행하려면 귀찮겠죠?

링크를 만드는 등의 다른 방법도 있겠지만...

MS-DOS Player의 실행파일 변환 기능을 한번 써보겠습니다요!


msdos -c -p437 LHA.EXE 를 실행한 모습입니다.

옵션에서 -c는 실행파일 변환을 의미하구요. -p437은 문자의 코드페이지437을 의미합니다.

new_exec_file.exe 라는 이름으로 변환된 파일이 나왔네요. (용량이 뻥튀기되었..ㅋ)





그럼, 원래의 LHA.EXE 파일을 삭제하고 새로 생성된 파일을 LHA.EXE로 바꿔서 실행해봅니다.

잘 돌아가죠? 오리지널 win32 프로그램처럼요 ㅋㅋ





LHA.EXE 파일도 만들었으니, 이걸로 파일 입출력이 제대로 되는지 봐야겠죠?

lha l 명령과 lha e 명령 둘다 잘 먹네요.





파일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텍스트 파일 하나만 열어봅시다~

압축이 잘 풀렸네요! 짝짝짝~ ㅎ.ㅎ






UltraCompressor도 같은 방식으로 파일변환을 해봅니다.

실행도 잘 되는군요! ㅎ.ㅎb





이런식으로 윈도에서 도스용 프로그램을 써야할 경우가 생기면,

MS-DOS Player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겠죠?


그럼, 즐거운 윈도 생활(?) 되세요~ ㅎ.ㅎ


.

.

.

.

.


마지막으로 몇줄 더 적습니다.


윈도10의 파워쉘에는 LHA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있습니다.

어, 그럼 여태 삽질한건가요?

그건 아니구요.


아래 스크린샷을 한번 보시죠!





lha l 명령을 써보면 압축파일 처리에 문제가 발생하는게 보이시죠? ㅋ

e 명령에서는 에러가 없는데... 아마 압축은 제대로 풀린 것 같네요.


결론은,

MS-DOS Player를 이용해서 DOS 실행파일을 변환하면 편하게 쓸 수 있다

입니다.


그럼, 즐거운 주말되세요!!


2017년 10월 19일 목요일

paraMSX-R 제작 #13 - MSX-Audio BIOS v1.3 테스트

간만에 paraMSX-R 영상을 찍어보았습니다. ㅎ.ㅎ


paraMSX-R에는 MSX-Audio BIOS v1.3 에뮬이 들어있습니다.

여기서 쓰이는 BIOS는 파나소닉의 오리지널 롬은 아니구요,

브라질의 sd_snatcher님이 개인적으로 개발하는 개조 BIOS입니다.


오리지널 MSX-Audio는 Y8950에서만 구동이 되지만,

개조 BIOS는 필립스 뮤직모듈, 문사운드, 달소리 등의 Y8950 및 OPL 계열칩이 있으면 쓸 수 있습니다.

참고로 BIOS 롬은 PARATOOL.COM 프로그램으로 paraMSX-R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그럼 실제 동상 모습을 볼까요?

저의 A1GT에서 문사운드 카트리지와 함께 paraMSX-R을 구동했습니다.

전반은 CPC-400 모드에서 딜럭스박스에 제비우스를 로딩/구동하는 영상이구요.

후반은 FS-A1WX 모드에서 파이어호크 HDD 인핸스 버전을 구동하는 영상입니다.


MSX-Music (OPLL)과 차이가 좀 느껴지시나요? ㅎ.ㅎㅋ




그럼, 즐거운 밤 되세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