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로 제작된 paraMSX-R입니다. 리뉴얼된 v1.2 보드가 사용되었습니다.
이제 엔딩이네요~ ㅎ.ㅎ/
잠시 손놓고 있던 작업을 이어봅니다~ ㅎ.ㅎ
게임을 즐기려면 상하좌우 4개의 화살표 입력이 필요합니다.
키보드에서는 아래처럼 1P, 2P의 입력키를 배치합니다. 커서키는 1P 입력으로 사용됩니다.
1P는 노랑, 2P는 파랑입니다.
오리지널 MSX 패드에서는 십자버튼 및 트리거버튼1(상), 트리거버튼2(우)로 동작하구요.
MD패드 핀을 개조해서 2버튼으로 동작할 때도 동일한 십자버튼 및 B(상), C(우)로 동작합니다.
JoyMega를 쓰는 경우는 십자버튼 및 Start(좌), A(하), B(상), C(우)로 동작합니다.
참고로, 일반패드에서는 십자버튼으로 상+하 또는 좌+우 함께 누르는 것이 불가능하니까...
십자버튼과 트리거 버튼을 나눠서 사용하면 됩니다 ㅎ.ㅎ
아래는 JoyMega 사용 시 사용되는 입력 설명입니다.
화면에 스크롤되어 올라오는 노트(화살표) 타이밍과 버튼 입력에 따라 5가지 판정 표식이 나옵니다.
이건 오리지널 DDR과 동일하도록 만들었어요 -> PERFECT, GREAT, GOOD, BOO, MISS
화면 표시에는 스프라이트를 이용합니다.
참고로 PERFECT, GREAT 판정 시에는 노트(화살표)가 사라지는데, 요것도 동일하게 구현했어요.
CPU, VDP 로드가 아슬아슬하네요 ㄷㄷ
실제 동작 모습은 아래 영상으로 확인하셔요~ ㅎ.ㅎ/
그럼, 다음편에서 보아요~ ㅎ.ㅎ/
paraMSX-R이 나온지 벌써 7년이 됐네요 ㅎ.ㅎ
살짝 리뉴얼 들어갑니다~
케이스 -> 검정색 반투명
레이블 -> 무광코팅
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제가 작년부터 레이블 스티커를 '무광코팅 유포지'으로 바꿨는데, 요게 맘에 들더라구요 ㅎ.ㅎ
(반짝반짝~ 유광코팅을 좋아하셨던 분께는 위로의 말씀을...)
에뮬 모드 및 롬디스크 드라이브 동작 표시는 녹색 LED로 변경됩니다.
MMC/SD V4의 머신 에뮬(GameRunner II) 표시와 같은색입니다. LED 위치도 똑같아요!
Memory Mapper 모드 전용 LED가 추가되었습니다.
SLT-X 등의 확장슬롯에서 쓰는 분들이 꽤 있으신 걸로 알고 있는데요.
메모리매퍼 2MB로 활용하실 때 동작 LED가 혼동되지 않도록, 파란색 LED를 따로 넣었습니다.
그 외, 내부 기능은 그대로입니다. 사용법도 동일하구요.
회로가 바뀐 것 때문에 디바이스 버전은 1.2로 표시가 됩니다. 기존은 1.1이었어요.
그럼, 즐거운 주말되셔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