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7일 일요일

SLT-Turbo 제작 #10 - 보드 v2.1로 변경

2020년에 SLT-Turbo V1가 나온 후 5년이 지났습니다. 시간 참 빨리 가네요...


아시다시피 2021년에 진행했던 SLT-Turbo V2 프로젝트는 컨셉이 애매해서 중단이 되었는데요.

그동안 확장슬롯 부분을 SLT-X V2로 만들었구요.

오디오 부분도 작년에 나온 WAU를 많이 쓰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맞나요?ㅋ


이제 주변 환경이 좀 정리(?)되었으니, SLT-Turbo v2.1로 가보아요~~ ㅎ.ㅎ/


아래는 SLT-Turbo v2.1 보드의 모습입니다.




SLT-Turbo v2.1의 기능들을 정리해봤습니다.


1. 외부 슬롯


기존 v2는 6개의 슬롯 커넥터가 있었죠.

기본슬롯(SLOT 1) + 확장슬롯(SLOT 2-x) + 고속BUS 슬롯(I/O 전용)


v2.1에서는 외부 슬롯이 없는 대신 SLT-X V2를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참고로, Bypass용 커넥터도 들어있는데요.

여기에 연결하면 SLT-Turbo 기능은 OFF되고, SLT-X V2만 동작하게됩니다.



물론 기존 v2에 있던 고속 BUS용 IO 슬롯은 제외입니다.

고속으로 동작하는 기능들은 SLT-Turbo 내장 기능들만 가능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 R800 곱셈 등의 추가된 CPU 명령어


기존 v2와 동일합니다. 추가 명령어는 CPLD 로직으로 구현되며, CPU는 Z80 한개만 사용합니다.

R800 곱셈 외의 다른 명령어를 추가할지는 아직 미정입니다.



3. 내장램


기존 v2와 동일한 SRAM 4MB를 사용합니다.

BIOS, Kanji Shadow로 예약되는 영역이 있어서, DOS2에서 사용자가 쓸 수 있는 램은 약 3MB입니다.



4. 고속 모드용 내장 기기


4.1 디스크 드라이브


v2의 SD 드라이브는 제외되었습니다.

물론 빠르게 동작하는 디스크가 있으면 좋습니다만...

아무래도 실기 MSX를 쓴다는 컨셉(?)에서는 본체 내장된 FDD를 활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되네요.


paraMSX-R의 V-Disk 에뮬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예를 들어 X-II에서 SLT-Turbo v2.1를 구동하면,

SLT-Turbo의 디스크(SLOT 3-2)를 액세스 시 X-II 본체의 FDD(SLOT 2)가 동작하는 식이죠.


4.2 비디오


사실 요놈 때문에 오랫동안 고민했었는데요.

추가된 비디오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결국 못 찾았습니다 ㅠ.ㅠ


결론: 비디오 기능은 제거


4.3 오디오


v2에서 VS10x3, I2S DAC 정도를 고려했었는데요.

이젠 WAU가 있어서, 딱히 MP3, PCM 오디오를 추가 할 필요는 없어졌습니다.


결론: 오디오 기능은 제거



5. DMA 컨트롤러


기존 v2와 동일합니다.

약간의 차이라면...

v2는 슬롯 신호(/SLTSL)가 내장이라서, 외부 슬롯의 Memmory mapped I/O 사용 시 편리한데,

v2.1은 외부의 SLT-X를 컨트롤을 해야되니, 약간의 추가 클럭을 소진하게 됩니다.

아마 실제 활용은 I/O mapped 기기들이 될 확률이 높겠죠.



6. turboR 호환 기능들


기존 v2의 H/W Timer, 8BIT PCM 출력, MIDI 출력은 동일하게 들어갑니다.

단, MIDI OUT 포트는 2개에서 1개로 줄었습니다.


Z80 DRAM, R800 DRAM 모드는 BIOS Shadow포함 turboR 그대로 호환입니다.

Kanji Font는 Shadow(RAM)로 구현되어서, 런타임으로 폰트를 바꾸는 것도 가능합니다.


SLOT 3-3의 매퍼(일명 Panasonic mapper 8K)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보드 납땜 확인하느라 찍은 사진을 올려봅니다요.


MSX1 JP BIOS를 로딩해서 BASIC 루프 테스트를 한 모습입니다.



Z80 3.58MHz에서 M1 wait 클럭을 제거 및 Z80 7.16MHz로 구동한 경우의 모습입니다.



그럼, 다음편에서 보아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