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1일 일요일

SLT-Turbo 제작 #13 - 내부 슬롯

고속 모드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turboR처럼 동작해야 되겠죠? ㅎ.ㅎ



@ GT 모드


A1GT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있구요. 내부 슬롯은 아래처럼 배치됩니다.


SLOT 0-0 = MainROM     (Page 0,1)

SLOT 0-1 = BASIC'N 2.1 (Page 1) + reserved (Page 2)

SLOT 0-2 = MusicROM GT (Page 1) + SLT-OPT  (Page 2)

SLOT 0-3 = CPU helper  (Page 0) + MSX LOGO (Page 1)


SLOT 3-0 = RAM 4096KB

SLOT 3-1 = SubROM      (Page 0) + KanjDRV  (Page 1,2)

SLOT 3-2 = DOS2 v2.31  (Page 1)

SLOT 3-3 = FontPack V2 (Page 1,2)


기존 turboR과 차이라면... BASIC'N, FontPack V2 내장 정도겠네요.

여기서 FontPack V2는 BIOS뿐만 아니라 한글폰트도 포함됩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외부슬롯에 FontPack을 꽂을 필요가 없습니다.

내장 I/O로 빠르게 구동하는 쪽이 더 좋으니까요~ ㅎ.ㅎ/

(물론 내장 FontPack을 끄고 외장을 쓸 수 있습니다.)



@ X-II 모드


고속모드도 없는 MSX2 기종이지만, 옛날 국산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용도로 쓰려구요.

내부 슬롯은 아래처럼 배치됩니다.


SLOT 0-0 = MainROM      (Page 0,1)

SLOT 0-1 = Hangul/Hanja (Page 1,2)

SLOT 0-2 = RAM 4096KB

SLOT 0-3 = SubROM       (Page 0) + HangulROM (Page 1)


SLOT 3-0 = MusicROM     (Page 1) + SLT-OPT   (Page 2)

SLOT 3-1 = BASIC'N 2.1  (Page 1) + reserved  (Page 2)

SLOT 3-2 = DOS2 v2.31   (Page 1)

SLOT 3-3 = None


X-II에서 숨긴(?) 저작권 및 버전 표시는 다시 켜놨습니다.

내장된 완성형 한글폰트는 명조체가 아니라 '둥근모' 폰트입니다.


SLOT 3-3의 FontPack은 기본적으로 OFF됩니다.

대우의 SCREEN9 출력루틴과 조금 간섭이 되더라구요.

BIOS의 한글 입력기와 ANSI 스크린만 제외되는 것이라서,

일반 프로그램에서 한글 폰트 I/O는 그대로 활용가능합니다. (예: M 파일매니저)

물론 FontPack BIOS를 켜는 것도 가능합니다.


CPU 모드 설정을 위해 별도의 BASIC CALL CPUn 명령을 추가했습니다.

CALL CPU0, CALL CPU1, CALL CPU2 이렇게요.

숫자만 봐도 뭔지 아시겠죠? 노말모드, 고속모드(ROM), 고속모드(RAM)입니다.

(참고로 이 명령은 GT 모드에서도 똑같이 사용가능합니다.)



@ BIOS shadow RAM


고속모드에서는 BIOS를 RAM에 복사해서 wait 없이 빠르게 구동할 수 있습니다.

turboR의 shadow RAM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기존 turboR은 shadow RAM에 64KB를 할당하지만, SLT-Turbo에서는 256KB를 할당합니다.

내장 BIOS 대부분이 shadow RAM으로 전환된다고 생각하시면 맞습니다.


그 외 추가 256KB의 shadow RAM이 예약되어있습니다.

FontPack에서 128KB를 사용하는데요.

FontPack을 끄고 Kanji(또는 X-II 한글) 폰트를 shadow RAM으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MMC/SD V4의 Kanji RAM 기능과 동일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폰트롬으로 로딩가능합니다.


전체 4096KB의 램에서 512KB가 shadow RAM으로 할당됩니다.

따라서 가용 메모리는 3584KB가 되겠습니다.



그럼, 실제로 동작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보시죠!

GT 모드에서 FontPack 사용 및 X-II 모드에서 SCREEN 9를 사용하는 모습입니다.





그럼, 다음편에서 보아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